글제목 : 당진환경연합 암모니아 혼소 중단 촉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감시센터 작성일 25-10-02 09:39본문
“독성물질로 미세먼지 증가시켜…석탄발전 수명연장 꼼수”

진환경운동연합(상임의장 손창원)이 지난 22일 당진시청 브리핑룸에서 한국동서발전 당진발전본부의 암모니아 혼소 추진과 부지 내 LNG발전소 건설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당진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에서 “동서발전이 최근 당진화력 주변 주민들을 대상으로 9~10호기 암모니아 혼소 추진과 5호기·8호기 LNG 발전소 대체건설 내용으로 간담회를 진행했지만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례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정진 사무국장은 “동서발전이 암모니아를 친환경 연료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환경부 지정 독성물질”이라며 “올해 2월 제주도에서 암모니아 누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일본과 한국만 추진”
손창원 당진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은 “암모니아 혼소는 석탄화력발전소 수명연장의 꼼수이고, LNG 발전소 전환은 확정되지 않은 계획을 확정된 것처럼 설명하는 알박기 시도”라고 규정했다.
손 의장은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의 화합물로 독성물질이며, 취급 사업장에서 누출사고 시 작업자 사망사고가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동서발전이 암모니아 혼소 발전이 국제적 추세라고 주장하지만 일본과 한국만이 유일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불연소 슬립으로 인해 미세먼지가 0.1% 발생 시에도 50% 이상 증가한다”고 반박했다.
5조 원 넘는 비용
조순형 충남환경운동연합 에너지전환팀장은 비용 문제를 지적했다. 조 팀장은 “삼척그린파워 1호기 암모니아 혼소 비용이 약 5조 원으로 추정되며, 태안화력 9호기의 경우 설비비용 5825억 원, 연료비 연간 3272억 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2030~2047년 운영기간 총비용이 3조971억 원에 이르는데, 이는 충남 지역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비용 1조7820억 원의 1.7배가 넘는다”고 지적했다.
조 팀장은 “암모니아 혼소 적용 시 기준 대비 85%까지 미세먼지가 증가하는 것은 충남 지역 석탄발전기 4기가 새롭게 등장하는 것과 마찬가지 효과”라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보다 2~3배 높은 비용”
정석환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정부가 청정수소발전 입찰제도를 만들어 15년간 장기계약으로 암모니아 20% 혼소율에 석탄 80% 발전을 유지하게 했다”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삼척그린파워는 킬로와트시당 450~470원으로 계약했는데 이는 재생에너지보다 2~3배 높은 비용”이라며 “해외에서 수소를 조달하는 과정에서 60% 정도 에너지 효율 손실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사업을 명분으로 암모니아 혼소를 유지하면 석탄 폐지 지역 지원법 논의에서 협상카드를 잃어버린다”고 우려했다.
LNG발전소도 “알박기 시도”
김정진 사무국장은 LNG 발전소 건설 문제도 제기했다. 그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당진화력 5·6호기 LNG 대체건설, 7·8호기 양수 또는 무탄소 전환만 명시돼 있고 구체적 위치는 없다”고 설명했다.
김 사무국장은 이투뉴스 보도를 인용해 “12차 전기본에서 LNG 대체발전소가 취소될 가능성이 있어 발전사들이 급하게 알박기를 시도하고 있다”며 “당진화력이 주민들에게 부지 내 LNG 발전소 건설이 확정됐다고 하는 것은 주민들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당진환경운동연합은 △당진화력 암모니아 혼소 추진 중단 △당진화력 부지 안에 LNG발전소 건설 추진 중단을 요구했다.
당진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에서 “동서발전이 최근 당진화력 주변 주민들을 대상으로 9~10호기 암모니아 혼소 추진과 5호기·8호기 LNG 발전소 대체건설 내용으로 간담회를 진행했지만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례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정진 사무국장은 “동서발전이 암모니아를 친환경 연료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환경부 지정 독성물질”이라며 “올해 2월 제주도에서 암모니아 누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일본과 한국만 추진”
손창원 당진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은 “암모니아 혼소는 석탄화력발전소 수명연장의 꼼수이고, LNG 발전소 전환은 확정되지 않은 계획을 확정된 것처럼 설명하는 알박기 시도”라고 규정했다.
손 의장은 “암모니아는 질소와 수소의 화합물로 독성물질이며, 취급 사업장에서 누출사고 시 작업자 사망사고가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동서발전이 암모니아 혼소 발전이 국제적 추세라고 주장하지만 일본과 한국만이 유일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불연소 슬립으로 인해 미세먼지가 0.1% 발생 시에도 50% 이상 증가한다”고 반박했다.
5조 원 넘는 비용
조순형 충남환경운동연합 에너지전환팀장은 비용 문제를 지적했다. 조 팀장은 “삼척그린파워 1호기 암모니아 혼소 비용이 약 5조 원으로 추정되며, 태안화력 9호기의 경우 설비비용 5825억 원, 연료비 연간 3272억 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2030~2047년 운영기간 총비용이 3조971억 원에 이르는데, 이는 충남 지역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비용 1조7820억 원의 1.7배가 넘는다”고 지적했다.
조 팀장은 “암모니아 혼소 적용 시 기준 대비 85%까지 미세먼지가 증가하는 것은 충남 지역 석탄발전기 4기가 새롭게 등장하는 것과 마찬가지 효과”라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보다 2~3배 높은 비용”
정석환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정부가 청정수소발전 입찰제도를 만들어 15년간 장기계약으로 암모니아 20% 혼소율에 석탄 80% 발전을 유지하게 했다”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삼척그린파워는 킬로와트시당 450~470원으로 계약했는데 이는 재생에너지보다 2~3배 높은 비용”이라며 “해외에서 수소를 조달하는 과정에서 60% 정도 에너지 효율 손실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사업을 명분으로 암모니아 혼소를 유지하면 석탄 폐지 지역 지원법 논의에서 협상카드를 잃어버린다”고 우려했다.
LNG발전소도 “알박기 시도”
김정진 사무국장은 LNG 발전소 건설 문제도 제기했다. 그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당진화력 5·6호기 LNG 대체건설, 7·8호기 양수 또는 무탄소 전환만 명시돼 있고 구체적 위치는 없다”고 설명했다.
김 사무국장은 이투뉴스 보도를 인용해 “12차 전기본에서 LNG 대체발전소가 취소될 가능성이 있어 발전사들이 급하게 알박기를 시도하고 있다”며 “당진화력이 주민들에게 부지 내 LNG 발전소 건설이 확정됐다고 하는 것은 주민들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당진환경운동연합은 △당진화력 암모니아 혼소 추진 중단 △당진화력 부지 안에 LNG발전소 건설 추진 중단을 요구했다.